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상식

생리전 가슴 통증과 생리전 증후군(PMS)대처방법

by 찐단비 2023. 1. 18.

목차

    생리통-하는-여자-사진
    생리전

    여성이라면 한 번씩 경험하게 되는 생리 전 가슴 통증이 있습니다. 누군가가 닿기만 해도 아프고 통증이 발생하며 속옷조차도 바꿔야 합니다. 생리 전 가슴 통증과 생리 전 증후군(PMS) 대처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생리 전 가슴 통증이 발생하는 원인과 궁금증 

    • 명확한 것은 아니지만 여성호르몬의 작용이라고 추측합니다.

    여성호르몬이 많이 분비가 되고, 여성의 가슴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프로락틴 같은 영향을 받는 기관입니다. 그중에서 가슴에 영향을 줍니다. 정상적인 호르몬이 나오다가 새리기간 전에 유방 통증을 일으킵니다. 주기적인 유방통증은 여성의 약 70%가 겪는 흔한 증상입니다. 주로 20대~30대에 발생합니다. 

    • 기타 궁금증 
    1. 발생되는 시점: 생리하기 10일~2일 전에 발생합니다.
    2. 원인 : 프로게스테론이 감소하거나 부족할 때입니다. 
    3. 그 외 원인 : 저혈당증이나 비타민 B6 결핍과 마그네슘이 부족한 경우입니다. 
    • 생리 전 가슴통증을 줄이는 방법
    1. 자극적이고 맵고, 기름진 음식을 피합니다.
    2. 알코올과 카페인 섭취를 줄입니다.
    3. 과일과 야채 등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습니다. 
    4. 꽉 끼는 스타킹이나 바지 꽉 조이는 속옷을 피하고 스포츠 브라를 착용합니다. 
    5. 가슴에 무리가 가는 불편한 자세를 피합니다. 

     

     

    반응형

     

    생리 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tension)  PMS이 나타나는 이유와 대처방법

     

    정확한 이유는 없지만 의학 전문가들은 생리 주기에 따라서 우울감과 심리적 변화에 따라서 세로토닌이라는 성분의 변화라고 합니다. 

    세로토닌이란 무엇일까요?

    세로토닌은 정신적인 부분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신경전달물질의 하나로 감정과 수면등의 조절에 관여를 합니다. 생화학적으로 트립토판에서 만들어집니다. 위장관, 혈소판, 뇌, 중추신경계 종재하며, 위장관에 90%입니다. 중추신경계에 1~2% 분포하고 있습니다. 행복을 느끼게 하거나 우울과 불안을 줄이는데 기여합니다.

    생리 전  
    신체적 변화
    - 전신 피로감을 느낍니다. 
    - 두통을 느낍니다. 
    - 유방과 허리 골반등의 통증이 느낍니다. 
    - 손발부종이 나타납니다.
    - 체중이 증가합니다.
    - 배변 장애가 생깁니다. 
    - 오한과 허리통증, 열 등 신체변화 

    정신적 변화
    - 긴장과 예민하고 불안합니다.
    - 우울함과 집중력 저하가 있습니다.
    - 식욕 변화와 기억력이 떨어집니다.
    - 성욕이 감퇴합니다. 

     

    증후군을 예방하는 대처방법은 무엇이 있을 까요?
    • 약물치료가 가능합니다. : 피임약을 이용하여 호르몬을 조절합니다. 항우울제를 통해 정신적 증상을 완화합니다.
    • 생활습관 교정합니다. :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과도한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습니다. 비타민 b군과 마그네슘과 오메가 3을 섭취하여 도움을 받습니다. 규칙적인 식사와 생활습관을 갖습니다. 

     

    마무리

    생리 증후군을 미리 알고 신체변화와 정신적인 변화를 이해합니다. 혹시 생리증후군이 심하여 일상생활이 어렵다면 한방과 양약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실손의료비에서 생리 전 증후군 한방약 처방이 1년에 1회 적용이 된다고 하니 살펴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배에 가스가 차는 이유와 조심할 음식

     

    배에 가스가 차는 이유와 조심할 음식

    배에 가스가 차면 상당히 불편합니다. 허리를 펴지도 못하고 구부정해야지만 조금 통증이 가라앉는 것 같습니다. 배에 가스가 차는 이유와 조심할 음식은 무엇이 있을까요? 배에 가스가 차는 이

    sweetrainoh.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