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이들의 호기심의 천국은 어디일까요? 바다입니다. 우리나라는 두 가지의 바다의 특색을 볼 수 있습니다. 서해와 동해입니다. 서해의 밀물과 썰물을 알아보고 동해안에는 없는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
바다의 밀물과 썰물 그리고 용어를 살펴보겠습니다.
바다에서 쓰는 용어가 있습니다. 한자어와 섞여있어서 잘 낯설기도 합니다. 해당 용어를 정리하여 바다를 나가실때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바다에 관련된 용어 정리
밀물 썰물
밀물 : 바닷물이 밀려들어와 물의 높이가 점점 차는 것을 말합니다.
썰물 :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물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만조 간조
만조 : 조석으로 바닷물이 하루 중 가장 높아졌을 때 말합니다.
간조 : 조석으로 의해 바닷물이 하루중 가장 낮을 때를 말합니다.
사리와 조금
사리 : 한 달에 두번 (보름달과 그믐)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가장 클 때를 말합니다.
조금 : 한달에 두 번(상현과 하현) 밀물가 썰물의 차이가 가장 작을 때를 말합니다.
고조와 저조
고조: 물이 가장 많이 들어 올때입니다. 고조시간 이후로는 해수면이 낮아집니다.
저조 : 물이 가장 많이 빠진떄입니다. 저조시간 이후로는 다시 해수면이 높아집니다. (저조에서 잇단 고조의 간격은 간격은 대략 6시간 12분 정도입니다)
왜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것인지 알아볼까요?
밀물과 썰물이 발생하는 이유는 태양, 지구, 달, 기타 천체 사이의 인력으로 정해진다고 합니다. 지구는 당연히 가까운 달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 달에 가까운 쪽은 인력에 의해 바닷물이 모입니다.
- 달의 반대쪽은 바닷물은 지구의 자전에 의해서 원심력이 부풀어 오릅니다.
- 인력과 원심력에 의해서 바닷물이 모인곳이 밀물이 됩니다. 그 외 부분 물이 빠져나가서 썰물이 됩니다.
서해 놀러가기전 물때 확인
조석예고표는 고조(만조)와 저조(간조)의 시간과 조위를 미리 예측합니다. <국립해양조사원사이트에서 조석예보 확인>
연간 조석표보는 법
각 지역에 대해 날짜별 고조(만조)와 저조(간조)의 시간 및 조위를 미리 예측한 표입니다.
고조는 물이 가장 많이 들어온때 입니다. 물이 가득찬 바다를 원한다면 그 시간때의 1~2시간 전에 미리 가야지ㅏㅁㄴ 가능합니다. 갯벌 체험을 위해서 물이 빠진 시간을 원한다면 똑같이 최고 물이 빠진 시간 전에 미리가서 해야합니다. 안그럼 물이 슬금 슬금 들어오기 시작하기 때문에 조개를 캘수 없습니다.
마무리
위와같이 지구의 공전과 함께 달이 돌고 또 태양주위를 돌기 때문에 서해의 물때가 다릅니다. 놀러 가거나 할 때는 꼭 전국에 해당 지역의 물때를 맞춰서 나들이를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슈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로지옥 시즌2 최종우 직업과 초당옥수수커피 (0) | 2023.01.11 |
---|---|
광고로 시작해서 광고로 끝나는 모바일 세상 (0) | 2023.01.11 |
대한민국 농할 상품권 16일 3차 마지막 구매일! 농할 상품권 (2) | 2023.01.10 |
이보영 배우 드라마 대행사 등장인물과 이슈(재벌집막내아들 후속작) (0) | 2023.01.09 |
각 휴대전화(핸드폰) 회사별 재난문자 알림끄기 (0) | 2023.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