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와 사회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의 무슨 뜻일까요.

by 찐단비 2023. 1. 6.

목차

     

    겨울-일러스트
    소한대한

     

    뉴스 아침 뉴스에 나오는 단어입니다. 우리나라는 24 절기가 있고 거기에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이 있습니다.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의 뜻을 알아볼까요?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의 뜻을 알아봅시다.

     

    소한(小寒) : 1년 중 가장 춥다는 계절이라고 합니다. 춥지 않은 소한은 없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 태양 환경은 285도 위치해 있습니다.
    • 23번째 절기에 속합니다.
    • 새해를 처음으로 맞는 계절입니다. 
    • 소한이 대한보다 오히려 춥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대한 (大寒) : 24 절기 가운데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를 말합니다.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 있으며 매듭을 짓는 절후입니다.
    • 태양의 환경은 300도의 위치에 있습니다.
    • 24번째 절기에 해당합니다.
    • 소한 다음에 오는 절기입니다.
    • 한자로는 가장 큰 추위지만 소한보다는 포근합니다.

     

     

    반응형

     

    겨울 절기를 간단하게 살펴봅시다.

     

    태양 환경  겨울 절기 날짜 
    225º 입동 11월 7일~8일
    240º 소설 11월 22일~23일
    255º 대설 12월7일~8일
    270º 동지 12월 21일~22일
    285º 소한 1월 5일~6일
    300º 대한  1월 20일 21일 

     


    속담

    •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가서 얼어 죽었다.
    • 소한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
    • 소한 추위는 꾸어서라도 한다. (그만큼 소한 추위는 매섭지만 추위를 이겨내서 어떤 역경도 감내하고자 했다고 합니다.)

    마무리

    지구의 온난화로 날씨가 많이 바뀌고 우리나라는 점점 따뜻해지고 있습니다. 겨울 추위가 있어야지만 농사를 지을 때 병충해도 없다고 합니다. 따뜻한 차와 함께 소한의 추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