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와 사회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궁금증 팁!

by 찐단비 2023. 3. 9.

목차

    청년-도약-계좌
    청년 도약계좌

     

    고물가 시기에 청년들이 생활의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정부에서 시행하는 청약 도약 계좌 상품이 있습니다. 해당 부분 살펴보겠습니다. 

     

     

    청년 동약 계좌는 누가? 어떻게 가입을 할까?

     

     

     

     

    만 19세 부터 34세를 대상으로 합니다. 또 개인 소득이 6천만 원 이하, 가구 소득이 중위 소득 대비 180% 이하인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출시는 6월 중에 시중에 은행을 통해서 가입 

     

    • 청년 도약 계좌는 최대 월 납입 70만원까지 가능 
    • 납입 기간은 5년 의무 기간
    • 정부 지원금이 3%~ 6%
    • 가입 기간은 2023년 6월 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신청이 가능
    • 가입가능한 소득구간은 가구 중위소득 180만 이하 
    • 이름 변경?  지난 정부는 청년 희망 적금 상품 , 이번 개선된 정부는 2023년 청년 도약 계좌 
    • 정부의 금융위원회 예산 편성 : 3678억 확정 
    • 5년 매월 40만원~ 70만 원 납입 적금 시 : 정부가 3% + 가산금리 6% 지원 ( 약 4200만 원 정도 5천만 원의 큰 자금을 만들어서 기반을 다질 수 있습니다.)

    참고: 청년 도약계좌 공무원도 가능 (추가 예산 편성이 되었음 )

     

    구분 내용
      가입대상 만 19세 이상에서 만 34세 이하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제외) 개인소득 6천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기준으로 편성 
    적금 방식  40만원 ~70만원
    가입기간 5년 만기
    이자 지급방식 만기일시지급식
    은행이자 은행 금리 혜택 / 비과세 혜택
    기타 1인 1계좌 
       

     

    기본적으로 알고 있을 주의사항 

     

     



     

    반응형



     

    주의사항과 팁! 

     

    가구원수 중위소득 180%
    1일 약 373만원
    2인 약 622만원
    3인 약 798만원
    4인  약 972만원
    5인 약 1139만원
    6인  약 1300만원 

     

     

     

    1. 무조건 5년가 의무기간을 납입해야합니다.
    2. 중도해지 시 감면세액 납입해야 해서 혜택이 줄어듭니다.
    3. 단, 생애최초 주택구입, 장기 실직으로 중도 해지는 가능합니다.
    4. 가입 후 금리가 변동? 금융당국은 청년 도약 계좌의 금리 수준은 추후 발표 ( 3년간 고정금리, 2년간은 변동금리 적용 방침 )
    5. 전년도 소득 확인 어려울 때, 직전 과세기간 소득은 확정되기 전까지는 전전 연도 과세기간 소득을 대신 활용 
    6. 청년 희망 적금과 청년도약계좌 중복은 가입 확정안 발표전이지만, 중복 가능정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수정안이 나오기면 추후 확인할 사항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한전 고효율 1등급 가전 환급금 (구매지원 10%~ 20% 추가지원 소급)

     

    한전 고효율 1등급 가전 환급금 (구매지원 10%~ 20% 추가지원 소급)

    22년도에 1차로 1등급 가전을 구매하고서는 환급금 10% 받으신분들이 계실 것입니다. 한전에서 추가로 10%지원항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한전 고효율 지원비 관련 추가 안내사항 추가 10% 지원 변

    sweetrainoh.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