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온이 내려가면서 우리의 교통수단인 자동차 관리도 다르게 확인해야 합니다. 차량의 특성에 맞춰서 날씨에 맞춰서 하나하나 점검하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 안전과 밀접하게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겨울철 차량 관리를 위해서는 정기점검은 필수입니다. 겨울철 자동차 관리와 확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 자동차 관리와 확인 알아봅시다.
배터리 확인
- 겨울철에는 배터리 확인이 필수입니다. 헤드라이트와 히터, 열선, 열선시트 등 전기장치 사용이 늘기 때문입니다.
- 계기판 경고 등을 확인합니다. 배터리 인디케이터 색깔은 초록색은 정상입니다. 검은색은 충전 필요합니다. 하얀색은 점검 또는 교체를 알립니다.(인디케이터는 보닛을 열어서 확인합니다. 차량마다 위치가 다릅니다)
- 블랙박스 액정을 통한 전압을 확인가능합니다. 주행 중에 14 볼트 안팎을 나타내면 정상입니다.
- 3~4년 , 6만 km의 주기가 되었다면 교환을 정비소에서 상담을 통해 확인합니다.
- 기온이 낮으면 블랙박스가 작동하면서 배터리 방전이 되기도 합니다. 방전이 반복되면 배터리 수명을 확인합니다.
부동액 확인 필수
- 자동차 동파방지는 부동액 확인 역할이 중요합니다. 정비소에서 부동액 점검을 해보고 부동액 원액 보충이나 교환등을 조언받습니다.
- 냉각수가 순환하는 히터 호수와 라디에이터 호스 확인합니다.
- 부동액 새는 것 확인, 탄성이 떨어져서 딱딱한지 확인합니다.
- 부동액 교환주기는 2년 4만 km입니다. 최근 출고된 차는 사계정용으로 5년 10만 km까지 사용가능합니다.
반응형
타이어점검
- 타이어 마모상태점검합니다. 눈이나 비가 올 때 마모가 심하면 미끄러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 도심 주행은 스노우 체인은 덜하지만 후륜 구동차는 스노타이어교체나 사계절용 타이어를 사용합니다.
- 일부 타이어 전문점에서는 겨울용 타이어 교체 시 기존 타이어를 겨울철에 보관해 주는 서비스도 합니다.
- 마모의 한계선 1.6mm 이르기 전에 타이어 교체가 필요합니다.
- 겨울철 기온이 낮아지면 공기가 수축되며 타이어 공기압이 떨어집니다. 공기압이 낮아지면 제동능력이 저하됩니다. 사고로 이어지기 전에 꼭 타이어 압은 월 1회 체크합니다.
와이퍼와 워셔액 점검
- 겨울철에는 눈과 성에 낀 유리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손상이 되기도 합니다. 유리 손상 전에 확인하세요.
- 시동 후 예열하는 것처럼 와이퍼 작동 전에 유리를 히터를 켭니다.
- 자동차 종류에 따라서 앞 유리 열선등으로 최대하 따뜻하게 녹이고 작동시킵니다.
- 워셔액이 얼어서 작동하지 않으면 모터의 고장을 초래합니다.
- 겨울철에는 덜 딱딱해지는 실리콘 재질 와이퍼를 사용을 하면 좋습니다.
오일과 브레이크 점검
- 자동차 기본 소모품 점검인 엔진 오일 등 각종 오일을 오래 사용하면 점도와 윤활성 능이 떨어집니다.
- 오일을 오래 쓰면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등이 성능이 저하가 되는 원인이 됩니다.
- 교환시기가 남았더라도 앞당겨서 오일과 브레이크 점검을 하면 좋습니다.
히터 점검과 실내공기 관리
- 겨울철 필수인 히터 점검은 동승자에 대한 배려 이기도 합니다. 방향제도 좋지만 필터를 교환합니다.
- 실내 공기 관리를 위해서는 환기도 자주 하도록 합니다.
- 겨울철에 신발에 제설 작업에 사용하는 염화칼슘이 묻어 있을 수 있으니 자동차 발판을 한 번씩 털어 주면 좋습니다.
- 도로 주행 특성상 차내 온도는 21~23도면 좋습니다.
마무리
겨울철에 너무 따뜻하게 히터를 틀면 졸음이 오기도 합니다. 졸음운전을 안 하기 위해서도 꼭 실내 온도는 23도를 지키면 좋습니다. 자동차를 안전하게 오래 타면 좋습니다. 추후에 중고차 매매 시에도 좋은 가격으로 판매도 가능합니다. 조금의 부지런함으로 미래의 자산을 조금 더 지킬 수가 있습니다. 정기적인 정비소에서 관리를 통해서 안전 운전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이슈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요양 급여(서비스) 필수 서류 세가지 (0) | 2023.01.04 |
---|---|
곰팡이 방지 방법과 곰팡이로 인한 질병(겨울철) (0) | 2023.01.01 |
2023년 연말정산 기간과 미리보기 (0) | 2022.12.30 |
전세 보증금 보험료 세액공제 챙기기 (0) | 2022.12.29 |
사회초년생 연말결산 알기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