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상식

안구 건조증 안약으로도 해결이 어렵다면

by 찐단비 2023. 1. 18.

목차

    안약-넣는-여자
    안구건조

    안구건조증은 '건성안 증후군' 또는 '눈마름 증후군'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눈을 촉촉하게 유지해 주는 눈물층의 양과 질이 감소해서 생기는데, 안약으로도 안구 건조증을 해결을 못한다면 어떤 치료를 할까요? 

    안구 건조증과 발생의 원인 알아봅시다. 

    안구 건조증

    분비물이 줄어들거나 눈물이 많이 분비되더라도 그 성분의 변화로 생깁니다.

    • 눈물을 세 층으로 이루어 집니다. 
    1. 점액층: 수성층이 고르게 퍼지는역할을 합니다.
    2. 중간층 : 수성층으로 눈물의 대부분을 형성합니다. 눈을 촉촉하게 하고,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3.  지방층 : 바깥쪽의 수성층의 증발을 막는 역합입니다.

     

    안구 건조증 발생 원인은 무엇일까요?
    • 노화 : 나이가 들면서 눈물의 분비량이나 눈물의 상태가 변합니다.
    • 동반질환 : 쇼그렌 증후군(입, 눈 등 몸 전체 점막에 염증이나 건조를 일으킵니다. ) 루프스, 공피증, 당뇨변, 비타민a결핍 증등의 질병으로 눈물의 양이 줄어서 생깁니다.
    • 만성 결막염 : 만성적인 염증에 의한 결막에서 점액 분비선의 역할이 줄어서 생깁니다. 점액층에 수분을 잡아둘 수 없어서 수성층이 눈물관을 통해 코로 흘러나가 버립니다.
    • 갑상선 질환 : 갑상선 항진증은 지나치게 눈이 커져서 과도하게 눈물이 증발합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눈물생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여성의 호르몬 감소 : 여성의 경우는 갱년기에 여성 호르몬 감소로 눈물의 생성도 줄어듭니다. 
    • 약물 복용 : 우울증 약, 일부 마취제,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지사제, 부교감 신경 차단제 등을 통해서 눈물 생성을 감소를 시킵니다.
    • 환경요인 : 주위 환경이 지나치게 건조하고 독서나 컴퓨터를 하면서 무의식적으로 눈의 깜박임이 줄어서 생깁니다. 

     

    안구 건조증 치료방법은 어떻게 될까

    • 인공 누액을 통한 눈물 공급 : 일반적으로 인공 누액을 통해서 눈의 뻑뻑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인공 누액을 항상 휴대하면서 불편할 때 점안을 합니다. 또한 안약과 연고가 있습니다. 안검염으로 인한 안구 건조증에는 IPL(lntense Pulsed Light) 치료가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반응형

     

     

     

    • 눈꺼풀 청소 : 눈꺼풀 청소는 눈물의 지방층을 회복시켜 눈물의 증발을 줄입니다. 깨끗한 면봉에 식염수나 안과에서 처방받은 연고를 발라서 속눈썹이 나오는 부위를 2~3회 정도 닦습니다. 

     

    • 눈물점을 폐쇄: 눈물점을 제거하는 기구를 삽입하거나, 전기로 소작합니다.  눈물의 배 출되는 눈물점을 막으면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마무리 

    눈의 건조증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각막염의 초기일수도 있고, 결막염, 눈물계통의 장애일 수도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확인을 하기 위해서 꼭 안과 전문의 진료를 통해서 치료를 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다래끼에서 해방된 방법과 다래끼 종류(기름샘청소)

     

    다래끼에서 해방된 방법과 다래끼 종류(기름샘청소)

    눈에 다래끼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결론은 오염으로 인한 염증이지요. 알수는 없지만, 어느정도 예방을 가능합니다. 저자가 다양한 다래끼를 겪었습니다. 괴롭히는 다래끼 해방된 방법을 알려

    sweetrainoh.tistory.com

     

    댓글